비와 외로움

[스크랩] Re: [스크랩] 사진작가 최민식 `가슴 찡한 사진들`

대지의 마음 2013. 2. 14. 08:52

‘불행이란 악성바이러스를 이겨내는 항체’

사진작가 최민식,

시인 조은이 엮어낸 감동적 사진에세이 삶이 고단하고 힘드신가요?

 

‘인간의 불행이라는 악성바이러스를 꿋꿋이 이겨낼 수 있게 하는 항체’

가 여기 있습니다. 50년간 인간을 주제로 삶의 진실을 파헤쳐왔던 사진작가 최민식(76)씨의 사진을 보고 있노라면 '불행'을 껴안는 그의 넉넉한 품이 그려집니다.

 

최근 시인 조은씨가 최씨와 함께 펴낸 사진집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것들에 대하여’(샘터)는 고단한 삶을 응시하는 두 사람의 영혼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최씨는 주로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생생하게 사진으로 담아왔습니다.

 

그의 작품에는 장사하다 끌려가는 아주머니와 고구마 몇 개 얹어놓고 행상을 벌이는 아이와 어머니, 길가에 지친 몸을 기댄 부자(父子) 등 고단하고 남루한 일상이 연이어집니다.

그 자신 또한 팔리지 않는 사진만 찍느라 줄곧 가난과 함께 살았습니다.

 

이 때문에 그네들 삶의 진실이 더욱 진하게 그의 사진에 묻어나는지도 모릅니다.

최씨의 카메라가 이처럼 언제나 낮은 곳을 향해 치열하게 움직이며 찍어낸 사진에 시인 조은씨가

간결한 글로 새로운 생명의 입김을 불어넣었습니다.

 

그는 최씨가 1950년대 후반부터 2004년까지 담아온 여러 서민들의 모습과 느낌에 감동을 더해주었습니다.

그들이 찍고 써 내려간 과거의 불행으로 잠시 되돌아가봅니다.

과거를 보면서 힘겨운 현재를 잠시 위로 받아봅니다.

인생을 담은 老사진작가와 한 중견시인의 질퍽한 감동의 사진에세이를 이제부터 간략하게 소개해봅니다.

 

 

어머니...어머니...

 

 

왜 어머니의 팔은 아이를 품어줄 수 없는 것일까요? 왜 어린 소녀는 힘겹게 누군가를 업고 있는 것일까요? (1969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서 있는 어머니 젖을 누나 등에 업힌 채 물고 있는 아이의 모습.

어머니는 손에 밴 비린내 때문에 아이를 안지 못 하고 있다)

 

 

 

 

거리의 어머니는 아이의 잠을 지켜주고 있는 것일까요, 아이의 죽음을 거부하고 있는 것일까요?

어머니에게 이 순간, 손을 내밀 사람이 있기나 할까요?(1961년 부산. 길가에서 구걸하고 있는

모녀의 모습이 뒤에 있는 간판과 대비된다.)

 

 

 

 

삶을 응시하는 자들이 키워가는 세계에서 우리들이 살고 있습니다. (1976년 부산. 자갈치 시장의 생선장수 아주머니가 아이를 업고 자장면으로 점심식사를 대신하고 있는 모습)

 

 

 

 

고되게 살아가는 자들에게서 느껴지는 아슬아슬한 질서와 안정감이 외면하고 싶을 만큼 서글픕니다.

(1959년 부산. 한 부둣가에서 생계를 위해 찐고구마를 팔고 있는 모자의 모습은 오히려 잘 먹지 못 해

영양실조에 걸린 것처럼 보인다)

 

 

 

 

일찍 어른의 모습이 되어버리는 아이들의 얼굴에선 미래가 암초처럼 모습을 나타내곤 합니다.

(1957년 부산. 이 시절에는 두 소녀처럼 학교도 못 가고 가사를 돌보며 사는 아이들이 많았다.)

 

 

 

 

거리의 부녀(父女)를 눈여겨보세요. 손으로 소음(消音)을 막아주고, 다리로 허우적거리는 아이를 잡아주며 아버지는 딸아이의 잠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1963년 부산)

 

 

 

 

본질(本質)에서 떨어져야만 아름다운 것들이 있습니다. 그만큼의 거리에서 빨래는 남루(襤樓)를 씻어버린듯 눈부시고 햇살은 명랑한 아이들처럼 골목을 뛰어다니지요.

(1963년 부산. 태극촌이라는 종교마을의 전경. 기하학적으로 보이는 이 판자촌은 당시 북한과 타지방에서 이주해온 피난민들이 주로 살고 있었다.)

 

 

 

 

 

육신(肉身)의 한 부분을 미리 자연 속으로 돌려보낸 사람들의 삶도 도무지 가벼워 보이지가 않습니다.

(1985년 부산. 극장가에서 비가 오거나 눈이 와도 그곳을 지키며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청년의 모습)

 

 

 

 

이토록 다른 정서적 이질감(異質感) 때문에 웃을 수 있는 것도 아직은 우리의 정신이 여유 있기 때문이지요. (2002년 부산. 역전의 공중전화에서 두 여인이 전화를 걸고 있지만 그 모습이 묘한 대비를 보이고 있는 장면)

 

 

 

 

불순함이라고는 없는 노동에 저토록 수모를 당해야 하다니 때로 세상의 정의가 불한당처럼 여겨지기도 합니다.(1972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한 노점상 여인이 단속반에 끌려가고 있는 애처로운 모습)

 

 

 

 

 

삶의 속도에 의해서 진창을 벗어날 때도 있고 속도 때문에 진창에 처박힐 때도 있습니다. (1978년 부산. 역전에서 비오는 날 한 아이가 자전거를 타다가 물이 튈까봐 다리를 들어올리는 모습)

 

 

 

 

어른들 세계로 팔을 쭉 뻗는 아이들은 언제나 밝은 것을 희망합니다. 그 아이들은 어둠 속에서도 열심히 빛을 향해 발돋움하겠지요. (1980년 부산. 용두산 공원에서 놀고 있던 두 소녀가 손을 번쩍 올리고 있다. 가난하지만 행복해 보이는 모습)

 

 

 

 

 

구불구불한 길에 뒤덮인 저 육체! 산다는 것은 제 몸속에 길을 내는 것입니다.  (1975년 부산. 범어사에서 주름이 깊은 할머니가 열심히 기도를 드리고 있는 모습)

 

 

 

 

외로움과 죽음의 관념을 이겨내고 비로소 환해지는 우리의 영혼처럼...(2004년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갈매기 한 마리가 할머니 머리에 잠시 앉았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더 가파른 곳에 올려놓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때라야 평지에 있는 자신을 향해 웃을 수 있는 것일까요? (1968년 부산. 자갈치 시장에서 짐을 기다리던 지게꾼이 사진작가를 보며

활짝 웃고 있는 모습. “잘 찍어달라”는 부탁까지 했다고.)

 

 

 

올해 일흔여섯인 최민식(사진)씨는 평생 ‘가난’과 ‘소외’를 화두로 사진을 찍어 온 작가다. 제1세대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꼽히는 그는 1957년 도쿄중앙미술학원을 졸업한 후 독학으로 사진을 공부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가 가난하고 소외된 인간의 얼굴을 찍어 왔다고는 하지만, 그의 앵글에 잡힌 표정들...

 

 

 

 

 

 

 

 

 

 

 

 

 

 

 

 

 

 

 

 

 

 

 

[출처] 사람만이 희망이다 - 사진작가 최민식[펌]|작성자 레인맨

출처 :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글쓴이 : 이국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