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와 노동조합의 동거(?)가 시작됐다_라이프인(2017년 10월 10일) 사회적경제와 노동조합의 동거(?)가 시작됐다기사승인 2017.10.10 12:27:08 - 국내사례로 확인하는 노동운동과 협동조합의 만남 시장경제 폐해, 협동조합이 대안으로..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매달 평균212개 생겨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통계를 보면 협동조합기본법을 시행한 2012년 12월 이.. 가자 철마야 2017.10.17
[산하칼럼]영화 '남한산성' 유감 [산하칼럼]영화 '남한산성' 유감 사람마다 먼저 보는 것이 있고 유심히 보는 부분이 있다. 그 누구도 무얼 먼저 봐야 한다거나 어느 부분을 유심히 보는 것이 도리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개인 취향이라는 것이겠다. <남한산성>은 개인 취향상 반드시 봐야 하는 영화였다. 그래서 개봉.. 녹나무의 전설 2017.10.13
"수고하세요" 한글날엔 이 말 쓰지 맙시다.(글 이명수) "수고하세요" 한글날엔 이 말 쓰지 맙시다[한글날] 휘청거리는 우리말 우리글, 한글날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자 2017년 10월 9일 글 이명수 추석 연휴를 앞두고 퇴근하면서 한 직원이 "즐거운 연휴 되세요"라고 말한다. 어법에 맞지 않은 말이지만 흔히 들어서 그런지 이 말이 어색하게 느껴지.. 나래치는 펭귄 2017.10.10
좋은 다큐영화 '고양이 케디'와 제다 토룬 감독 효리네 민박집에 사는 고양이와 개들은 특별하다. 누군가의 눈치를 보지도 않고, 서로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려 할 뿐 아니라 사람마저도 다른 고양이와 개 대하듯 한다. 아마도 효리네가 동물들과 함께 사는 방식때문이리라. 그저 주변을 차지하는 다른 나와 같이 인정하고 한 공간을 나.. 녹나무의 전설 2017.10.09
위인들의 아름다운 친필사인들 역사적 인물들의 서명을 보고 우린 무엇을 생각해야 할까? 내 서명을 이쁘게 만들어야겠다는 다짐? 내 삶은 얼마나 나의 꿈과 열정으로 채워지고 있는가 성찰? 아래 기사를 보면, 서명을 통해 그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 그리고, 나는 서명이 보여주는 멋짐이 아니라, 이제 그는 어떤 사람.. 비와 외로움 2017.10.09
화인_도종환 시, 백자 곡 " 이제 사월은 내게 옛날의 사월이 아니다. 이제 바다는 내게 지난날의 바다가 아니다." 제작 : 416가족협의회, 4.16연대 기획 : 416공감위원회 감독 : 김형주 작시 : 도종환 작곡 : 백자 편곡 : 정은주 노래 : 박세윤 외 89명 녹나무의 전설 2017.10.08
작년 감천·다대포항 방파제 붕괴…설계한도 넘어선 파도 탓(2017/09/26) 작년 감천·다대포항 방파제 붕괴…설계한도 넘어선 파도 탓 대한토목학회 원인조사 10개월 만에 결론…"이상기후 대비 설계 강화 필요"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지난해 10월 한반도 남부를 강타한 태풍 차바 때 부산 감천항과 다대포항의 방파제가 무너진 것은 설계 한도를 넘은 .. 가혹하고 이기적인 2017.10.02
[생각]소년법 논란을 통해 처벌과 대안 사이의 긴장을 고민하다! 사고 재발 방지 관점에서 깊이 생각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통상의 경우 형사정책학에서 입증된 것인데, 형벌을 아주 강화한다고 범죄가 줄어들지는 않는다. 범죄 예방이 훨씬 더 중요하다"며 "엄벌주의는 범죄가 일어난 뒤에 그 사람에게 중형을 내리자는 것인데, 소년법과 관련해 미성.. 가혹하고 이기적인 2017.09.26
스위스 바젤역을 떠올리다.(2016년 7월초) 바젤역? 노시내의 <스위스 방명록>에 등장한 역 명칭이 왠지 모르게 친숙하다. 뚜렷하지는 않지만 방문 했던 곳이라는 확신도 생긴다. 이윽고 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아! 맞다!!’ 바젤역 중앙홀의 모습은 당시에도 매우 특이하고 고풍스럽다는 느낌을 받은 기억이 살아난다. 멀리 스.. 강이 그리워 2017.09.23
찰스 페로의 시스템 사고이론을 세월호에 적용해본다면?_월간 오늘보다(2015년 4월) 찰스 페로의 시스템 사고이론을 세월호에 적용해본다면? 해양운송 사고의 구조적 원인과 예방 방안 _2015년 4월 이진우 _노동자운동연구소 연구원 모든 생명에게 안전은 본질적인 문제이다. 특히 인간은 자연재해나 다른 동물들의 공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와 사회를 발전.. 가혹하고 이기적인 2017.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