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끔한 글' 쓰는 방법 13가지_양원모 '깔끔한 글' 쓰는 방법 13가지 깔끔한 글 쓰는 방법 13가지를 정리했다. 여러 글쓰기 책을 참고했다. 철칙은 아니지만, 지키면 좋다. 1. '의', '것' 빼기 '의(の)'는 일본식 표현이다. '의'와 '것'은 빼도 대부분 말이 된다. 사족이다. 예) 3명의 사람 -> 사람 3명 그는 사랑했던 것이다 -> 그는 .. 낯설은 아쉬움 2017.02.23
[스크랩] 이종문 시집/ [아버지가 서 계시네]/ 황금알/ 2016 이종문 시집/ [아버지가 서 계시네]/ 황금알/ 2016 아버지가 서 계시네 -이종문 순애야~ 날 부르는 쩌렁쩌렁 고함 소리 무심코 내다보니 대운동장 한복판에 쌀 한 말 짊어지시고 아버지가 서 계셨다 어구야꾸 쏟아지는 싸락눈을 맞으시며 새끼대이 멜빵으로 쌀 한 말 짊어지고 순애야~ 순애 .. 낯설은 아쉬움 2017.02.15
미래의 도시교통, 전기차가 만능해결책?_김준한(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미래의 도시교통, 전기차가 만능해결책? [에정칼럼] 녹색교통복지와 자전거 By 김준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존의 화석연료 자동차가 위기를 맞게 되었다. 독일은 2030년까지 휘발유·디젤 연료 자동차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 가자 철마야 2017.02.14
창의력이 돋보이는 종이 예술 '종이질?' 이란 제목의 사진 몇 장을 모 밴드에서 만났다. 종이질? 종이 위의 그림에 갇혀 있지 않는 상상이어야 가능한 종이 예술. 보는 것만으로도 현재 수준의 사고 차원을 훌쩍 뛰어넘을 수 있겠다는 상쾌함이 전해진다. 탁월한 이 작품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출처도 제대로 밝히지 않.. 나래치는 펭귄 2017.01.27
노동, 날지 말고 제대로 걷자(조건준 금속노조경기지부 교육담당) 노동, 날지 말고 제대로 걷자 조건준 금속노조 경기지부 교육담당 집행위원 1. 세 가지 단절 첫째, 촛불광장과 생계직장은 공간적으로 단절돼 있는 것은 아닐까. 촛불시민들은 광장에 나와서 권력을 마음껏 비판한다. 직장에서도 우리 안의 갑질과 권력에 대해 마음껏 비판하고 있을까. .. 희망을 위하여 2017.01.15
노동, 내가 변해야 세상이 변한다.(조건준_경기금속노조 교육담당) 날지 못해도 좋다. 제대로 걸을 수 있으면 정말 좋겠다. 노동, 내가 변해야 세상이 변한다. 조건준(경기금속노조 교육담당 집행위원) 1. 그분 7시간 말고, 나의 7시간 “너무 세게 비판하니까, 지난 30년 동안 노동운동을 해온 인생이 잘 못 살아온 것 같습니다. 비판 좀 살살해요” 며칠 전 .. 희망을 위하여 2017.01.15
2017년 올해 더 신경써야 할 것들. 올해도 몇 가지 목표를 세운다. 하나, 건강 생활 ■1주 1~2번의 걷기(핸드폰으로 운동 기록이 남도록 하고) ■1달 1~2차례 산행, 자전거타기, 원거리 도보 - 2/19 무등산 산행 (딸과 함께) - 3/26 어등산 산행 (아이들과 함께) ■다음날 올바른 정신으로 계획성 있는 생활이 가능한 정도의 음주로 .. 언제나 그 자리에 2017.01.05
[2016년] 독서 목록 35. 위험성평가 해설(정진우 지음, 중앙경제사) 244쪽 ▶ 9,324쪽 34. 선언_사람 중심 사회로 가는 길(박세길 지음, 윤출판) 312쪽 ▶ 9,080쪽 33. 위대한 전환_지구 온도 2도를 지키기 위해(알렉산드라 하만 등, 푸른지식) 148쪽 ▶ 8,768쪽 32. 편견도 두려움도 없이(곽정은 지음, 달 출판사) 285쪽 ▶ 8,.. 언제나 그 자리에 2016.12.30
[펌]인간답게 살기 위한 투쟁,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보고 가난이 죄인가? 동사무소에서 '쪽팔렸던' 이유 [리뷰] 인간답게 살기 위한 투쟁,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를 보고 이진혁(leejin5165)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271997&CMPT_CD=SEARCH 인간은 선량한가. 따뜻한가. 학창시절 암기했던 '성선설'을 묻는 것이 아니다. 우리.. 녹나무의 전설 2016.12.21
국민 안전체감도 5점 만점에 2.79점(2016년 8월 18일) 우리 국민 신종전염병 걱정 가장 커…안전체감도 5점 만점에 2.79점 (2016년 8월 18일) 올 상반기 우리 사회의 안전 체감도는 5점 만점에 2.79점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가장 안전한 분야로 자연재난을 꼽은 반면 가장 불안한 분야로는 메르스, 지카바이러스와 같은 신종전염병을 선택했다. .. 가혹하고 이기적인 2016.12.21